앞서 언급한 태양광 가구 프로젝트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. 태양광 가구의 구상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.
1. 박막형 태양광 필름은 결정형 실리콘과 달리 부피가 작고 훨씬 가볍다.
2. 기존의 태양광 전지가 설치해야 할 '시설물'이라면, 박막형 태양광 전지는 하나의 '가구'단위까지 소형화 될 수 있다.
3.이제 태양광 업자를 불러서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, 할인매장에서 태양광 블라인드 구입해서 본인이 DIY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.
물론 여기에는 전제되어야 할 사실이 정말로 많습니다.
박막형 태양광 필름의 소개
먼저 박막형 태양광 필름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. 박막형 태양광 전지는 얇은 플라스티이나 유리기판에 막을 입히는 방식으로 제조하는 태양전지로 막의 종류에 따라 비정질 실리콘(a-Si)태양전지, CIGS(갈륨-인듐)태양광 전지 CdTe(카드뮴-텔라이드)로 나누어집니다.
Wikipedia에 있는 시장 점유율입니다. 현재 박막형 태양광 전지의 점유율은 10% 미만입니다. 현재 그 점유율이 빠르게 증가하고는 있지만, 전세계 태양광 시장에서는 아직 minor입니다.
현재 박막형 태양광 전지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것은 카드뮴-텔라이드입니다. 카드뮴-텔라이드의 가장 큰 장점은 제작 방식이 간단하여서,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가 매우 적습니다. 다시 말하면, 태양광 패널을 생산하는데 소요된 에너지를 태양광 모듈이 생산한 에너지로 상쇄하는 energy-payback time이 다른 태양광 모듈에 비해서 월등히 짧습니다. 또한 효율도 15%정도 됩니다. 하지만, 단점은 많습니다. 우선 카드뮴은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이어서 이것이 설치된 뒤에 환경적 장애요인이 많습니다. 또한 주 원료중에 하나인 텔륨은 그렇게 풍부한 광석이 아니기 때문에, 향후 대량생산에도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.
그 다음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태양전지가 CIGS입니다. CIGS는 효율 면에서 CdTe와 비슷한 효율을 보이고 있습니다. 약 10-15%정도를 보이고 있습니다. 하지만, 카드뮴 태양전지보다 훨씬 환경 친화적입니다. 하지만 CIGS 또한 현재 대량생산 모델이 확랍되지 않았습니다.
다음에는 비정질 실리콘 (a-si)이 있습니다. 비정질 실리콘이 있습니다. 비정질 실리콘의 가장 큰 장점은 대량 생산 모델이 확보되어 있다는 점입니다. 기존에 결정형 실리콘의 대량 생산 방식이 검증이 되었기 때문에, 비정질 실리콘의 대량 생산은 가능합니다. 문제는 효율이 낮다는 것입니다. 7-10%로 이미 25%에 육박하는 결정형 실리콘에 비해서는 터무니 없이 낮은 수치입니다.
'Seri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태양광 가구 프로젝트-(2) 태양광 가구의 3요소 (0) | 2015.06.26 |
---|---|
태양광 가구 프로젝트-(1) 박막형 태양광 필름시장 (0) | 2015.06.25 |
기후변화를 해결하기 위한 협업 플랫폼(8)-후손들에게 책임있는 세대가 되려면 (2) | 2014.02.20 |
기후변화를 해결하기 위한 협업플랫폼(7)-3단계, 에너지 협업 플랫폼 (0) | 2014.02.20 |
기후변화를 해결하기 위한 협업 플랫폼(6)-2단계,에너지 혁신 제안 플랫폼 (1) | 2014.02.20 |
기후변화를 해결하기 위한 협업플랫폼(5)-1단계 에너지 절약 플랫폼 (0) | 2014.02.20 |